The Nature of Maum (Meditation Music & More)
Buddhist chant: Om Mani Padme Hum 唵嘛呢叭咪吽 옴마니반메훔 | Healing Tibetan Mantra Music For Meditation
Oṃ maṇi padme hūṃ(Sanskrit: ॐ मणि पद्मे हूँ, IPA: [õːː mɐɳɪ pɐdmeː ɦũː]) is the six-syllabled Sanskrit mantra particularly associated with the four-armed Shadakshari form of Avalokiteshvara, the bodhisattva of compassion. It first appeared in the Mahayana Kāraṇḍavyūhasūtra where it is also referred to as the sadaksara (six syllabled) and the paramahrdaya, or “innermost heart” of Avalokiteshvara. In this text the mantra is seen as the condensed form of all Buddhist teachings.
The precis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words remains much discussed by Buddhist scholars. The literal meaning in English has been expressed as "praise to the jewel in the lotus", or as a declarative aspiration possibly meaning "I in the jewel-lotus". Padma is the Sanskrit for the Indian lotus (Nelumbo nucifera), and mani for "jewel", as in a type of spiritual "jewel" widely referred to in Buddhism. The first word, aum/om, is a sacred syllable in various Indian religions, and hum represents the spirit of enlightenment.
In Tibetan Buddhism, this is the most ubiquitous mantra and the most popular form of religious practice, performed by laypersons and monastics alike. It is also an ever present feature of the landscape, commonly carved onto rocks, known as mani stones, painted into the sides of hills or else it is written on prayer flags and prayer wheels.
Due to the increased interactions between Chinese Buddhists and Tibetans and Mongolians during the 11th century, the mantra also entered Chinese Buddhism. The mantra has also been adapted into Chinese Taoism.
옴 마니 반메 훔 진언의 정식 제목은 관세음보살 본심미묘 육자대명왕진언(觀世音菩薩 本心微妙 六字大明王眞言)이다. 너무 길어서 보통 '육자진언'이나 '관세음보살 육자진언'이라고들 부른다. 원문인 산스크리트어를 굳이 직역하면 '옴, 보석 연꽃, 훔'이라고 한다.
이를 '연꽃 속의 보석이여'라는 식으로 밀교 특유의 성스러운 비유라고 해석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티베트 밖의 서양인 학자들의 오해였다. 티베트 불교 사비관음의 도상에도 나오는, 관세음보살이 손에 든 보석과 연꽃을 언급했을 뿐이다. 그러나 이러한 잘못된 해석은 티베트로 역수입이 되어서 티베트 승려들 중에서도 이런 해석을 하는 경우가 있는 실정이다.13세기에 가톨릭 선교사들이 티베트 불교와 처음 접촉했을 때 그들은 이 진언의 의미를 "신이시여, 당신은 알고 계십니다"라고 이해했다. 적어도 당시의 티베트 불교 승려들은 이런 의미로 독송하고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마니파드메'는 산스크리트 문법상 여성 호격임도 주목할 점이다. 정확히는 '마니파드미(Manipadmi)'라는 여성명사로 지칭되는 존재를 호격으로 부른 것이다. 이를 두고 힌두교의 시바에 대응하는 대승불교의 존재가 관세음보살이듯, 시바의 짝이자 창조의 여성적 원리인 사티에 대응하는 불교적 존재가 마니파드미고 마니파드미를 부르는 진언이 육자진언이라고 보는 학자도 있다.
티베트인들이 모여 사는 곳 이나 티베탄 콜로니의 절에 가면 안내판에 영문으로 이 발음을 설명한 곳이 아주 많다. 티베트 불교나 밀교에는 이 진언을 100만 번 외우면 성불할 수 있다는 믿음도 있다.
천수경 해설을 보면 '옴 마니 반메 훔'에서 '옴'은 하늘 세상, '마'는 아수라, '니'는 인간, '반'은 축생, '메'는 아귀, '훔'은 지옥 세계의 제도를 뜻하고 또한 일체의 복덕 지혜와 모든 공덕행의 근본을 갈무린 진언을 뜻한다. 육도의 중생들을 제도하여 육도의 문을 닫게 한다는 뜻이다.
원래는 마지막 음절 hrīḥ(흐리히, ह्रीः)가 뒤에 더 붙어서 옴 마니 파드메 훔 흐리히였다고 한다. 산스크리트어로 '흐리히'의 원래 뜻은 '참회'라고 하지만, 여기서는 의미를 따지지 않는다. 이 글자는 밀교에서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을 상징하는 종자자(種子字)이다. 밀교에서는 특정한 소리의 음절로 불교의 각 불보살을 상징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문수보살의 종자자는 '디'이다.
밀교에는 머리속으로 부처나 보살 등의 모습을 상상하는 수행법이 있는데, 이때 처음에는 종자자를 어떤 문자로 적은 모습을 떠올렸다가, (씨앗에서 싹이 터서 나무로 자라듯) 점차 완전한 불보살의 모습을 상상한다. 마치 씨앗을 심었더니 자라서 나무가 되는 것과 같다 하여 최초로 상상의 대상이 되는 '문자'를 종자자(씨앗 글자)라 부른다. 흐리히는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의 종자자이고, 그래서 아미타불의 진언 중에도 '흐리히' 소리를 집어넣은 것이 있다.
육자진언을 독송하더라도 '흐리히'를 소리 내어 독송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한다고 해도 마음 속으로만 한다.
观世音菩萨的六字大明咒——唵嘛呢叭咪吽,梵文罗马拼音为:oṃ-ma-ṇi- pad-me-hong 。
此咒含有诸佛无尽的加持与慈悲,是诸佛慈悲和智慧的音声显现,六字大明咒是“嗡(ong)阿(e)吽”三字的扩展,其内涵异常丰富,奥妙无穷,蕴藏了宇宙中的大能力、大智慧、大慈悲。
中文拼音参考发音,现代汉语读音:
唵(ong)嘛(mā)呢(nī)叭(bēi)咪(mēi)吽( hōng)。
中古汉语读音:(根据书籍 切韵. 广韵 .集韵)唵 [qemx] 嘛[mrä] 呢[nri] 叭[phrët] 咪[mëi] 吽[heux]。汉地、藏地、蒙古发音有微小的不同,初学者可按佛法清净传承者的发音为准比较如法。
《佛说大乘庄严宝王经卷四》中音译为“ 唵(weng),么(mo)抳(ni),钵(bo)讷(ne)铭(ming),吽”。
是诸佛慈悲智慧的音声显现,其中涵摄了佛所教授八万四千法门的精义。在众多不同的咒语中,如明咒、陀罗尼咒、密咒,没有一个比观世音菩萨的六字大明咒更殊胜,持诵这个咒语的大利益,在佛经和密续中一再被提及。据说只持诵六字大明咒一遍,就等于诵念了佛陀所传的十二分教,持诵六字大明咒圆满了菩萨的六度,并能稳固地杜绝任何投生六道的可能性。这是个简单的修法,容易了解,所有人都能修持,也包含了佛法的要义。如果你把六字大明咒当作快乐与痛苦时的皈依处,那么观世音菩萨将一直与你同在,你将不造作地愈来愈虔诚,自然升起对大乘之道的所有了悟。
六字大明咒为观音菩萨微妙心印,有无量无边不可思议功德,为十方诸佛所赞叹。书六字大明咒如书三藏法宝,诵六字大明咒三世业障悉得清净,了脱生死,究竟成就,且能断无明,开智慧,消灾延寿,增富救贫,救百千苦难,摧灭贪嗔痴,闭塞轮回路,历代眷属俱得超生,腹肠诸虫亦得证果,又具无量三昧法门,日日得具足六波罗密功德,一切金刚护法天龙八部无不欢喜拥护。欲生何佛土均如愿成就。不但持诵书写与观想有功德,只要此真言着于身,触于手,耳闻目见,或藏于家中,或书于门上,或展旗扬幡,凡沾此法味者,任何众生亦得生死解脱之因,同证菩提道果之德,逢凶化吉,遇难呈祥。凡未成佛者,求寿求子,求消灭一切地水火风空灾难危险,以及一切所求,无不如摩尼宝珠,各满其愿。总而言之,六字大明咒之功德,就是以佛之智慧来讲,亦穷劫难尽。若以现在藏经所载功德来讲亦要讲三年方能讲完。又大悲咒是观音菩萨长咒,六字大明咒是观音菩萨心咒,亦为大悲咒之心咒。
#meditationmusic #mindfulnessmusic #relaxationmusic #healingmusic #spiritualmusic #calmmind #innerpeace #stressrelief #selfcaremusic #spamusic #bam #lofi #zen #meditation #yoga #sleep #relaxingmusic #relaxing #yogamusic #ommanipadmehum #唵嘛呢叭咪吽 #옴마니반메훔